[RxSwift] 2. Subject and Relay
Subject란? 기존의 Observable 타입의 스트림은 한번 스트림을 생성하면 그 후에 스트림에 이벤트를 추가하는 것이 불가능 합니다. 하지만 Subject는 가능합니다. Subject로 스트림을 생성하게 될 경우, subscribe한 후에도 해당 Subject에 onNext로 이벤트를 보내는 것이 가능해집니다. 즉, Observable과 Observer 역할 모두 가능한 타입 입니다. Subject 종류 PublishSubject, BehaviorSubject, ReplaySubject, AsyncSubject가 있습니다. PublishSubject 스트림이 빈 상태로 시작합니다. 새로운 이벤트가 추가되면 추가 되는 시점에 Subscribe하고 있는 스트림에만 이벤트가 전달 됩니다. Behavio..
Develop/iOS
2021. 11. 2. 20:00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아키텍처
- 프로비저닝
- 코드사이닝
- Push
- APNS
- ios
- 프로비저닝 프로파일
- TextField
- subject
- MVC
- notification
- rxcocoa
- Rx
- 클린아키텍처
- Apple
- dip
- Crossing Boundaries
- Swift
- provisioning profile
- Clean Architecture
- remote
- 코테
- relay
- TabBar
- 동적계획법
- CSR
- 프로파일
- certificate
- MVVM
- RxSwift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